인디자인 (6) 썸네일형 리스트형 인쇄실무 66. 제본의 종류 하드커버 제본 말그대로 표지 안에 두꺼운 보드지가 들어있고 패브릭이나 패브릭 같은 종이로 감싸서 커버 만드는 양장제본과의 같은 양식이긴 한데 표지를 붙이는 방식이 다름 커버에 보드지가 아닌 두꺼운 종이를 두르는 것 3부터는 1.2 양장제본과 달리 실제본 아닌 풀제본 (실이 없는 제본이라서 무선제본이라고 한다.) 접지로 묶인 페이지들을 풀칠하는 것 아주 얇은 책을 쓸 때는 무선제본 하지 않음. 최소 24p 이상의 두께감이 있어야 풀칠이 붙는다. 4부터는 페이지의 접지 없이 낱장들을 모아 풀칠을 해 제본을 하는 것 가장 쉽고 빠르게 제본 가능 중철용 스테이플러는 온라인에서 쉽게 구비가능 180도로 펼쳐지는 장점. 팜플렛 같은 간단한 인쇄물. 링제본 링 플라스틱, 메탈, 색 다양 쉬운 방법.. 소책자 디자인 59. 책 구조와 명칭 인쇄소에서는 부분적으로 일본어 명칭을 사용 인디자인 마냥 늘리지 말고 쪽배열표로 계획 후 시작 권장 소책자 구성 주의사항 1. 컬러톤 2. 폰트 사이즈, 행간, 자간 유지 정한 컬러들을 바탕으로 정보의 위계 규칙 만들기(시각적 규칙) 배경색을 넣는다던지... 리플렛 디자인 콘텐츠(텍스트와 이미지의 양), 한페이지 분량 고려해 어떤 접지 방식이 내가 갖고 있는 콘텐츠에 알맞는지 고려해 선택 후 작업하면 더 편리 접어져 들어가는 면이 부드럽게 들어가려면 97mm로 너비 조금 줄여준다 대지를 세등분하기 보다는 쪽별로 구성하는게 더 편리 0:6 42. 원고 흘리기 및 본문 정리하기 43. paragraph 패널 단락 세부 편집하기 원고를 편집할 때 character 문자 와 paragraph 단락 패널을 가장 많이 사용하게 된다. 문자 패널의 baseline shift 기준선 이동 baseline = 글자가 얹혀 있는 선. 글자의 밑 선 단락 패널을 이용할 때는 단락을 굳이 드래그 하지 않고 커서만 해당 단락에 있으면 각 단락 수치 조정 가능 textbox 내에서 좌측,우측,중앙.. 인디자인 기초 강의 03. 문서 디자인 30. 그리드에 대한 기본 이해 문서 디자인을 하는데 생기는 문제는 각각의 텍스트 정보들을 어떤 기준으로 배치해야하는지... 디자인 레이아웃 문제를 해결하는데 도움이 되는 도구: 그리드 layout - margin and colums : 단, 간격 gutter 수정 가능 보통은 대지위에 놓아야할 개체들을 랜덤하게 올려놓고 나서 조금씩 정리해 나가면서 그리드를 결정하는 과정을 겪는다. 불편하다면 단 없애도 된다. 가이드를 주는 것이기 때문에 이것이 너무 얶매여서 작업할 필요는 없다. 책자 디자인을 할 때도 양면이 3단그리드를 하면 텍스트가 꽉차서 답답 한면은 이미지로 강약 조절하는... 단의 숫자만 결정하는 다단그리드와는 달리 가로ㅡ 세로를 모두 결정하는 방식의 모듈 그리드 layout- create gu.. 인디자인 기초 강의 02. 인디자인 작업환경 이해하기+표 12. 문자쓰기. type tool 가장 많이 사용할 툴바의 type tool 텍스트를 사용하기 위한 툴 단축키 t 확대 축소 command +/- 이동 단축키 space bar (hand tool) 텍스트안에서는 이동단축키 안먹히니까 esc 누르면 바로 검은화살표 selection tool 하고 이동 가 텍스트로 미리 세팅 : 우클릭-fill with placeholer text (자리표시자 텍스트로 채우기) 설정한 텍스트 박스를 꽉 채우는 텍스트 더비가 생성됨 command 누른 상태에서 fill with placeholer text 누르면 원하는 언어 텍스트 더비 설정 가능 원하는 텍스트 사이즈, 행간, 너비 설정해 놓으면 진짜 원고나 내용이 생길 때 넣기 편리함 텍스트박스가 텍스트 보다 작을 경우.. 인디자인 기초 강의 01. 인디자인 시작하기 인쇄 작업별 대지 사이즈 인디자인 기능만 익혀서는 퀄리티있는작업이 나오기 어렵다. 타이포그래피에 대한 이해와 적용이 뒷받침 되어야한다. 디자인을 잘하려면 작은 디테일에 집착하는 치밀성과 보는 눈이 높아야한다. 같은 기능을 제한적으로 사용하더라도 정성과 시간에 따라 퀄리티가 달라진다. 디자인이 좋아보이는 이유를 스스로 분석하는 과정으로 자신의 디자인을 찾아가고, 아카이빙을 통해 아이디어 얻기 01. 기본 작업환경 기본 작업환경의 구성 (툴박스, 컨트롤 박스, 패널) 툴박스 선택에 따라서 상단에 컨트롤 박스가 바뀐다. 간단하고 빠른 편집을 위해 툴에 대한 모든 기능을 보여주는 것. 컨트롤 박스 위의 기본 메뉴바 구성 indesign cc: 환경설정 file : 문서 관련 기능. export, package,.. 이전 1 다음